라벨이 롱테일인 게시물 표시

AI에 의해 이제 슈퍼스타는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는 세상

이미지
- 최근에 할리우드 파업을 통해 작가와 배우 직군은 사용자와 AI활용에 대해 합의.  셀럽들은 AI가 자신의 외형을 따라하거나, 더 뛰어난 외형을 가진 가상의 셀럽을 만들지 못하도록 AI의 생성 공정에 제약을 거는 조항(AI가 학습하거나 생성한 배우에게 반드시 보상 지불)을 만들었음.  - AI 활용으로 배우들이 AI로 대체될 가능성 그리고 일부 셀럽의 승자독식 구조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예상. 1960년대에 컬러TV방송이 나오면서 TV인기가 급속도로 커지자 배우들은 더 이상 사람들이 자신을 보러 극장으로 오지 않을거라 두려워했지만, 그 TV로 인해 그 배우들은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하고 어마어마한 수익을 얻게 됨.   옴니스타의 시대 - 이코노미스트는 "셀럽들은 AI에 관한 불만을 강하게 쏟아내고 있지만 오히려 그들이 AI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될 것". 그러면서 '옴니스타(Omnistar)'의 등장이 머지않았다고 명시 (The dawn of the omnistar).   옴니스타는 '모든 곳, 모든 것, 모든 방식'을 뜻하는 접사 '옴니(omni-)'와 스타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온 세상 모든 매체를 점령하는 셀럽을 말함. - 셀럽의 커리어 수명은 짧음. 아이돌의 연예계 생명이 길면 7년이라는 '7년 징크스'. 게다가 소셜미디어와 숏폼이 엔터테인먼트를 점령하며 셀럽들의 커리어 수명을 점점 더 단축시키고 있음. - 그러나 최근 AI와의 결합을 통해 커리어를 연장하다 못해 과거의 영광을 되찾는 셀럽의 사례가 등장. 생성AI로 특정 가수의 음색을 학습시킨 뒤 온갖 노래를 대신 부르게 하는 것. 아래는 대표적 예시로 프레디 머큐리의 크리스마스 캐롤. AI에게 빼앗긴 非셀럽의 비교우위 - 생성AI가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 스며들며 어마어마한 양의 콘텐츠를 재능과 인기를 모두 갖춘 극소수의 셀럽이 독차지할 수 있게 바꿈. 지금까지 비셀럽은 비교우위가 있었기 때문에 일자리와 배역을 확보할 수 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