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우버인 게시물 표시

블록체인, 망가진 인터넷 시대를 고칠 수 있을까

이미지
- 현재 앱스토어 다운로드 순위에서 최상위권에 위치한 앱 대다수는 대략 10년 전에 출시된 것들. 인스타그램(14년 전), 유튜브(19년 전), X(트위터, 18년 전), 페이스북(20년 전), 틱톡(바이트댄스, 12년 전), 쿠팡(14년 전), 테무(핀둬둬, 8년 전) 모두 오래 전에 출시된 앱. 국내에선 인기가 저조하지만 해외에선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우버(15년 전), 왓츠앱(15년 전) 등도 마찬가지. 10~20년 전 인기를 끈 앱을 출시한 빅테크는 이제 게이트키퍼가 되었음. 불확실성, 통제력 커진 인터넷 환경 - 스마트폰 시대보다 더 앞서 시작된 인터넷 시대에 커뮤니티 및 플랫폼은 개발자와 유저 모두에게 새로운 환경. 개발자는 자신의 기술을 곧 비즈니스로 만들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었고, 유저는 다른 유저나 개발자와 직접 소통하며 기존엔 얻지 못했던 새로운 정보들에 접근할 수 있었음.  - 하지만 인터넷이 주는 신선함이 사라지고 나니, 빅테크들이 운영하는 커뮤니티는 환경적으로 불확실성이 무척 커졌음. 빅테크를 제외한 대다수 개발자와 창업가는 이러한 빅테크의 커뮤니티와 플랫폼에 종속되는 게 스스로 천장을 만드는 행위임을 알게됨. 빅테크는 API를 관리하는 걸 넘어, 알고리즘과 내부 정책에 따라 서비스별 유저 수를 조절하기도. 이는 커뮤니티 등 플랫폼 산업이 사업자와 소비자 양자를 중개하는 다면시장에 해당하면서도 한쪽 거래자의 수가 다른쪽 거래자의 수와 편익을 증가시키는 교차네트워크 효과를 가지기 때문.  - 더욱 중요한 문제는, 이러한 대규모 커뮤니티・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는 수익 대부분이 제대로 분배되지 않는단 것. 이는 불공정한 건 물론이며, 장기적으론 개발자와 창업자들을 위한 경제적 유인이 사라진단 문제. '네트워크 효과'의 부작용. 여기서 커뮤니티는 초기에 유저를 늘리기 위해 다양한 혜택과 사용하기 쉬운 도구를 제공하지만, 일단 사용자가 많아지면 그 가치를 자의적으로 조정해 경쟁자 혹은 잠재적 경쟁자를 낙오시키려 함. - 공정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