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CUE인 게시물 표시

생성AI로 달라질 네이버&구글 검색, 뉴스 트래픽은 어떻게 될까

이미지
-현재까지 우리가 봐 왔던 검색 방식은 생성 AI와의 결합으로 전혀 다른 모습으로 태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음.  - 검색 결과창의 UI 변화는 곧장 뉴스 소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현재까지 검색창은 '완성된 문장'보다는  검색하고자 하는 '핵심 단어'의 나열을 주 입력 정보값으로 활용해 왔음. 인간-검색엔진의 일반적인 대화 방법. 이 방식에 따라 해당 키워드를 품고 있는 언론사의 기사는 검색 결과물로 제시될 가능성이 높았고, 이를 통해 자사 웹사이트로 사용자를 유입시키고 뉴스 소비하게 하면서 광고 수익을 창출. 그래서 검색 유입을 통한 트래픽은 그래서 중요했습니다. - 하지만 이러한 입력 방식과 결과 제시 방식, 즉 사용자와 검색의 대화법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 주류 검색엔진들은 입력 정보값으로 '완성된 문장'을 받아들일 준비를 마친 상태. 생성 AI결과값으로는 사용자가 기대하는 정확한 정답을 생성해 추론해 제시하고 제한된 링크만 나열하는 구조로 바꾸려고 하고 있음. 이는 정보를 찾고 탐색하고 대화하는 방식의 큰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음. 왜냐하면 굳이 뉴스 전문을 찾아들어가지 않더라도 궁금증과 호기심, 요약 정보를 미리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  구글 검색 어떻게 바뀌게 되나 : (1) 프롬프트창=검색입력창 입력창의 구조 변화 - 입력창의 모양새는 전혀 바뀐게 없고 이전과 동일. 그러나 입력값에 따라 출력값이 다르게 나온다는 경험을 하게 되고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입력창의 활용 방식이 바뀌게 될 것.  - 구글은 사용자들의 새로운 경험 경험을 유도하기 위해 입력 습관 변화를 제안하는 다양한 마케팅을 진행할 것. 입력창 정보가 들어오면 가장 중요한 위치에 'Generative AI in Experimental'이 나타남. 이전까지 검색 출력창의 상단 공간은 스폰서 링크 등의 광고 영역이었음. 이제 저 공간에 생성 AI가 생성한 응답 결과를 보여주게 될 것.  네이버 검색

AI 검색이 언론사 트래픽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
  ▣ 요약 - AI 검색에 의해서 언론사 트래픽 감소는 필연적인 디폴트값. 💣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적 & 기술적 대응이 필요. 특히 콘텐츠적으로는 라이프스타일 정보의 강화가 중요.  1.  소셜미디어들의 뉴스 배제 경향 - 페이스북 ( 메타 ) 같은 소셜미디어는 뉴스를 사실상 버림 . 예전 대비 큰 폰의 유입 트래픽 감소를 경험. 소셜미디어에서 뉴스를 가장 많이 소비했던 기점이 2020 년도였고 , 이때를 기점으로 소셜미디어에 의존하며 트래픽을 받아왔던 좋은 시절을 꺾였다는 평가 . 2. 검색 서비스와 생성 AI 의 통합 - 검색 생성 AI 경험 (SGE, Search Generative AI Experience) 으로 기존의 키워드 매칭 중심의 검색 방식의 변화가 필수 . 그 동안 키워드를 통해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엔진 최적화 ) 를 시도했던 방법에 변화가 필요 . - 몇몇 조사에 따르면 SGE 의 적용 범위가 확장될 경우 웹사이트로 유입되는 트래픽이 최선의 경우 – 18%, 최악의 경우 -64% 까지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 . 3. 정보 탐색 경로로서 ChatGPT 등 생성 AI 서비스 - ChatGPT 월 방문자수는 17 억으로 네이버 월 12 억보다 더 많음 . 심지어 ChatGPT 는 일부 유료 서비스인걸 감안하면 그 숫자가 적다고 볼 수 없음 .  ChatGPT 가 전통적으로 검색이 수행했던 역할을 일부 대체하고 있고 그래서 당연히 ChatGPT 를 통한 정보 검색이 활성화될수록 언론사로 유입되는 트래픽은 낮아질 가능성이 높음 . ▣ 한국 시장의 특수성과 네이버 뉴스 & 검색 트래픽 1. 뉴스소비 자체를 회피하는 사용자들 - 디지털뉴스 리포트 2023( 한국언론진흥재단 ) 에 따르면 한국 수용자들의 뉴스 회피 성향을 글로벌 평균과 비교했을 때 아주 높은 편은 아님 . 하지만 국내 정치 뉴스에 대한 회피 성향이 두드러질 정도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정치 기사 비중이 유독 높은